The company’s stance and that of its employees are bound to be opposites.For the company to make a profit, the lower the salary and higher the workload, the better.Employees would say otherwise; As the saying goes, “work less and earn more,” the less work andthe higher the pay, the better. As long as the company … Continue reading The sum of trust among employees is the source of company’s profit.
Tag: 사업계획
인사 평가 시 흔히 생기는 3가지 오해, 난 잘했는데 왜 이렇게?
인사 평가는, 아무리 합리적인 시스템을 갖춰도 불만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. 여기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는, 회사의 자원 (돈, 승진)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. 모두가 좋은 결과를 받을 수는 없다.어떤 회사던, 인사 평가 결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은 많다. 이 글은 인사 평가, 연봉 협상을 진행하면서 드는 [1] 난 잘했는데/열심히 했는데 왜 이 정도밖에? 우리 모두는 보통, 실제에 비해 자신이 … Continue reading 인사 평가 시 흔히 생기는 3가지 오해, 난 잘했는데 왜 이렇게?
비즈니스의 기본 – 변명 없는 목표 설정의 원리
목표를 설정하고, 지키는건 회사가 돌아가는 근본 원리다.나는 기본적으로 팀원들에게 목표에 대한 합의를 할 때, KPI 달성, 마일스톤 두 가지로만 약속을 한다.목표 설정과 달성의 본질은, 참/거짓을 변명의 여지 없이 나누는 것이다.KPI는 수치로 표현 가능한 약속을 의미하고, 마일스톤은 그 외에 참/거짓을 분명하게 나눌수 있는 명제를 의미한다.**Good Example**KPI- 사이트 방문자 수 1,600 달성- 주 단위 매출마일스톤- 서비스 v1.0 … Continue reading 비즈니스의 기본 – 변명 없는 목표 설정의 원리
의미없는 시장규모 측정, 탁월한 실행을 고민하자
나는 사업을 바라볼때, 시장 규모라는건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. 왜냐면, 어떤 일을 아주 탁월하게 잘하면 다른 시장으로 확장할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. 하지만 이건 "탁월하게", 다시 말해서 "10배" 이상 남들과 다른 방식으로 뚜렷히 구분되게 더 잘할수 있다는걸 의미한다. 한마디로, "Zero to One"이 가능한 사람에게 시장 규모는 의미가 없다. 예를 들어, 아마존의 경우를 보자. 책을 정말 잘 … Continue reading 의미없는 시장규모 측정, 탁월한 실행을 고민하자